말뚝기초의 분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
- 구조물을 지반의 표면에서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때 땅 속에 기둥을 세움으로서 구조물을 지지 하기 위한 기초형식 입니다.
재질과 제작 따른 분류
- 아래는 재질과 제작 따른 분류입니다.
- RC( Reinforced Concrete)
- PC(Precast Concrete) 말뚝 = 오래된 구조물에 주로 사용되었는데 수직력 이외의 하중에 대해 매우 취약하며, 특히 내진해석이 적용이 안된 시절의 말뚝이라 내진에 아주 취약하다.
- PHC(High Strength Concrete) = PC말뚝 개선책으로 도입되었으며, 축방향하중작용시 파괴에대한 내력은 강관말뚝보다 크다.
시공법에 따른 분류
- 또한 시공법에 따른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타입말뚝
1.1 직타공법
- 한마디로 두드려 박는 말뚝 입니다.
- 디젤해머, 드롭해머, 진동해머, 유압해머 등등 사용하는데 뭐로든 박으면 됩니다.
- 타일말뚝의 특징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1.2선굴착후 직타
- 아래 그림은 선굴착후 직타방법입니다.
2. 매입말뚝
- 말 그대로 매입하는 말뚝입니다.
- 매일말뚝의 특징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여기서 시공관리난이도가 어렵다 = 비싸다 겠죠??
1) S.I.P ( Soil-cement Injected Precast Pile) 공법
2) S.A.I.P (Special Auger & Injected Precast Pile)
- 여기서 S는 Special 앞의 SIP는 Soil 입니다. 무엇이 스페셜할까요??
- 굴착후에 오거는 케이싱이 있어 말뚝을 삽입후에 회수하므로 굴착면의 붕괴위험이 없습니다 아주 스페셜하죠. 작업속도가 느리며 케이싱 인발시 불안전한 선단부(End of Pile)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3) P.R.D (Percussion Rotary Drill)
4) D.R.A (SDA)(Double Rotary Auger, Separated Doughnut Auger)공법
3. 현장타설공법
- 현장타설말뚝은 지반을 굴착하여 만든 연직 구멍 속에 콘크리트를 쳐서 만든 기초 형식이므로 말뚝주변과 선단지반을 이완시키는 경향(지지력 저하)이 있다.
- 시공 방법에 따른 각각의 특징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