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철근비
콘크리트 철근비는 안전한 구조설계를 위해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최소철근비, 균형철근비, 최대철근비 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2012 콘크리트구조기준해설, p.104,193~194
구 분 | 내 용 | ||
보및1방향슬래브 | 휨 방향 | ∙ρmin = 1.4/fy, 0.25(√Fck)/fy중 큰 값단, 사용된 철근량이 해석으로 요구되는 철근량보다 최소한 1/3 이상 많을 때는 제외 | |
휨직각방향 | ∙수축・온도 철근량 (어떤 경우에도 0.0014 이상)- 0.0020 : fy=400MPa 이하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슬래브- 0.002×400/fy : 0.0035의 항복변형률에서 측정한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가 400MPa을 초과한 슬래브∙수축・온도 철근비에 전체 콘크리트 단면적을 곱하여 계산한 수축・온도 철근 단면적을 단위 m당 1,800㎟보다 크게 취할 필요는 없음 | ||
벽 체 | 최소수직철근비 | ∙0.0012 : fy가 400MPa 이상으로서 D16이하의 이형철근∙0.0015 : 기타 이형철근∙0.0012 : 지름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
최소 수평철근비 | ∙0.0020 : fy가 400MPa 이상으로서 D16이하의 이형철근∙0.0025 : 기타 이형철근∙0.0020 : 지름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
기 둥 | ∙ρmin = 0.01 (ρmax = 0.08)단, 축방향 철근이 겹침이음되는 경우의 철근비는 0.04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1. 최대 철근비(Pmax)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콘크리트 철근비 인장철근량이 매우 적어 공칭모멘트 Mn이 보 단면이 보유한 균열모멘 트 Mcr 보다 작을 경우, 보의 인장측에 균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파괴에 이를 수 있기 때문
2. 최대 철근비(Pmax)
콘크리트 철근비를 균형철근비로 설계된 철근콘크리트 보에 타설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낮아질 경우 실제 배근된 철근비가 균형철근비보다 높게 되어 압축파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임, 따라서 지난 설계기준에서는 균형철근비의 75%를 사용함
구 분 | 균 형 철 근 비 (Pb) | 최대철근비 (Pmax) |
인장철근만을 갖는직사각형 단면 | ∙ | Pmax = 0.75 Pb |
압축철근만을 갖는직사각형 단면 | ∙여기서 = 균형조건에서의 압축철근의 응력 | Pmax = 0.75 Pb |
3. 균형 철근비(Pb)
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에 도달함과 동시에 철근이 항복하는 경우의 철근비 균형철근비를 통해 해당단면의 철근이 극한상태에서 항복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음
- 인장철근만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 압축철근만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실무 콘크리트 단면 구조계산서 예시
구조설계 실무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 계산서 입니다. 만약 학생이시라면 실무에서도 구조 안전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검토하는 사항이니 꼭 숙지하세요~

관련된 기준은 KDS국가기준코드를 참고하세요